경제적 자유를 꿈꾼다면,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 은퇴 가능한 나이와 목표한 자본금을 계산하는 일일 것이다.
사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경제적 자유의 기준 또는 필요조건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.
실제로 약 3억의 자본금을 모은 후 은퇴를 해서 조금씩 쓰며 생활하는 사람도 있고, 20억 이상을 모을 때까지 노력하는 사람도 있다.
여기저기서 주워들은 정보로 내가 계산한 최대 빨리 은퇴할 수 있는 나이와 목표금액은 아래와 같다.
1. 지출규모 파악하기
1) 한 달 지출비 파악하기: 말레이시아에 살고있는 나는 한 달에 평균 12000링깃을 쓰고 있다. (4인가구)
2) 줄일 수 있는 불필요한 소비내역 정리하기: 외식비/한국마트 지출을 줄이면 최대 월 1000 링깃 정도 줄일 수 있다.
2. 저축 가능 금액 파악하기 (5-8% 복리)
1) 저축 가능 금액: 1년에 3000만원
2) 종잣돈 1억원 달성 시기: 약 3년에 걸쳐 2024년에 달성 가능
3) 2040년 은퇴시 자본금: 5억 5천만원
3. 은퇴시 자본금으로 근로소득없이 노후 생존이 가능한지 검토해보기
1) 은퇴 후 한 달 생활비: 말레이시아 거주 시, 한 달 평균 7000링깃 지출 (2인가구)
2) 은퇴 후 필요한 총 금액: 9억 5천 만 원 (1년 지출 * 40년 | 물가 상승 고려하지 않은 금액)
4. 노후 생존을 위한 금액과 은퇴시 자본금의 차이를 어떻게 줄일지 계획하기
1) 연봉 올리기
2) 부수입 만들기
3) 투자
여러가지 계산 방법이 있겠지만, 변수없이 현 상황이 유지될 경우 2040년에는 5억 5천만원을 저금해서 은퇴가 가능하다.
다만, 90살까지 살 걸 대비해서 5억 원 정도가 더 필요하다.
이 금액은 은퇴 전에 1)연봉 올리기, 2)부수입 만들기, 3)투자 등으로 모으는 방법이 있고,
은퇴 후 자본금으로 재투자를 해서 불리는 방법이 있다.
아직 자본주의 세계에 겨우 눈을 뜬 주린이로서 계획을 계속 수정해나가야겠지만,
이리하여 나는 3)투자 를 공부해보기로 하였다.
'주린이 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5 주린이의 친환경 주식 공부하기 feat. ICLN ETF (0) | 2021.11.06 |
---|---|
#4. 페이스북 사명 변경 Facebook 에서 Meta로! feat. 상표권 400억 (0) | 2021.10.30 |
#3. P2P 투자 & 국내주식/해외주식 어플 설치하기 (0) | 2021.10.27 |
#1. 흙수저의 경제적 자유, 가능할까? (0) | 2021.10.25 |